김해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해 김씨는 가락국 시조 수로왕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허황옥을 왕비로 맞아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김해 허씨, 인천 이씨와 동본관으로 취급된다. 2004년 허황옥의 인도 도래설을 증명하는 과학적 증거가 제시되었고, 김유신은 수로왕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김해 김씨는 신라에서 귀족으로 번성하였으나, 고려 시대에 삼한갑족으로 위세를 떨치다 조선 시대에 쇠락을 겪었다. 경파, 사군파, 삼현파 등 다양한 분파가 있으며, 각 파마다 항렬자가 존재한다. 주요 인물로는 김유신, 김대중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이며, 집성촌은 전라남도, 경상남도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수로왕과 허황후를 모신 숭선전, 김유신을 모신 숭무전 등 유적이 존재하며, 사성 김해 김씨는 우록 김씨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김해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관향 | |
시조 | |
중시조 | |
집성촌 | |
주요 인물 | |
인구 | |
기타 | |
![]() |
2. 유래
가락국의 수로왕(首露王)은 구지봉(龜旨峰)에 내려온 금합(金盒)에서 나왔다 하여 김(金)을 성으로 하였으며, 아유타국에서 온 허황옥(許黃玉)을 왕비로 맞았다.[17] 김수로왕의 10대손 구형왕(仇衡王)이 532년 신라에 항복하면서 가락(駕洛)을 식읍(食邑)으로 받았고, 그의 아들 김무력(金武力)은 각간(角干)을 역임했다.[17]
2. 1. 시조
가락국의 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한다. 서기 42년(중국 후한 건무 18) 3월 가락국(駕洛國)의 아홉 촌장이 구지봉(龜旨峰) 산정에 모여 나라를 통솔할 군장(君長)을 얻기 위해 하늘을 향해 의식(儀式)을 올리자 하늘에서 여섯 개의 황금알(卵)을 담은 금합(金盒)이 내려왔다.[17] 다음날 여섯 알이 여섯 동자(童子)로 변하여 제일 먼저 나온 동자를 수로(首露)라고 이름짓고 금합(金盒)에서 태어났다하여 성(姓)을 김씨(金氏)로 하니 그가 바로 김해 김씨의 시조(始祖)인 김수로왕(金首露王)이다.[17] 김해 김씨 시조는 전설에 따르면 김수로이며, 그의 부인은 전설적인 허황옥 여왕이다.[2]수로왕은 나라이름을 대가락(大駕洛)으로 정하고 아유타국(阿踰陁國: 고대 인도의 국가)에서 바다를 건너온 허황옥(許黃玉)을 왕비(王妃)로 맞아 10명의 왕자(王子)와 2명의 공주(公主)를 두었다.[17] 삼국사기에 따르면, 김유신은 김수로의 12대손이다.
2. 2. 허황옥과 국제결혼
42년 가락국의 수로왕(首露王)은 아유타국(阿踰陁國)의 공주 허황옥(許黃玉)을 왕비(王妃)로 맞이하였다.[17] 전설에 따르면 김해 김씨 시조는 김수로이며, 그의 부인은 허황옥이다.[2]200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정선 교수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김정일 교수는 한국유전체학회에서 "김해시에 있는 고분의 유골을 분석한 결과, 한민족의 뿌리인 몽골 북방계와는 달리, 인도 남방계였다"고 발표하며 허황옥의 "인도 도래설"을 증명하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였다.[5] 미토콘드리아는 DNA를 보유하는데, 허황옥의 "인도 도래설"이 사실이라면, 자손은 모계인 허황옥의 DNA를 계승하고 있어 인도 남방계의 DNA를 가지게 된다. 허황옥의 자손으로 추정되는 유골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몽골 북방계가 아닌 인도 남방계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5]
3. 역사
김해 김씨는 중시조 김유신이 가락국 구형왕의 증손으로 신라 무열왕과 삼국통일의 대업을 달성하고,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으며 신라에서 귀족 가문으로 번성하였다. 그러나 혜공왕 피살 이후 무열왕계 왕통이 단절되면서 6두품으로까지 추락하기도 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23세손 김상좌가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 개국원훈에 오르는 등, 그 후손들이 여러 관직을 맡으며 명성을 떨쳤다. 고려 시대에만 정승급 15명을 비롯하여 명신·공신 10여 명, 장군 8명, 제학 11명 등 숱한 인물을 배출했다.
하지만 조선 시대에는 조선 건국에 반대하는 이들이 많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18][19] 등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가문이 쇠퇴하였다. 조선시대 정승은 숙종 때 김우항 한 명뿐이었다.
3. 1. 신라 시대
김유신(金庾信)은 가락국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仇衡王)의 증손으로, 신라 무열왕(武烈王)과 함께 삼국통일의 대업(大業)을 달성한 명장(名將)이다. 김유신은 무열왕의 딸 지소부인(智炤夫人)과 혼인하였고 최고 벼슬 태대각간(太大角干)에 이르렀으며, 사후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존되면서 김해 김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김유신의 조부는 신라 진흥왕 때 뛰어난 무장(武將)으로 각간(角干) 벼슬을 지낸 김무력(金武力)이고, 아버지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장인이자 당대의 이름난 장군인 김서현(金舒玄)이며, 어머니는 진흥왕의 아우인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부인(萬明夫人)이다.
김해 김씨는 신라 왕실과 혼인을 맺음으로써 신라에서 귀족으로 극진한 대우를 받아 명문거족(名門巨族)으로 번성하였다. 그러나 혜공왕이 피살되어 무열왕계 왕통이 단절되고 다른 진골 귀족들로부터 경원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으로까지 추락했다.
3. 2. 고려 시대
김유신은 가락국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증손으로, 신라 무열왕과 함께 삼국통일의 대업을 달성한 명장이다. 무열왕의 딸 지소부인과 혼인하였고 최고 벼슬 태대각간에 이르렀으며, 사후 흥무대왕으로 추존되면서 김해 김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김유신의 조부는 신라 진흥왕 때 뛰어난 무장으로 각간 벼슬을 지낸 김무력이고, 아버지는 태종무열왕의 장인이며 당대의 이름난 장군인 김서현이며, 어머니는 진흥왕의 아우인 숙흘종의 딸 만명부인이다.
김해 김씨는 신라 왕실과 혼인함으로써 신라에서 귀족으로 극진한 대우를 받으며 명문거족으로 번성하였다. 그러나 혜공왕이 피살되어 무열왕계 왕통이 단절되고 다른 진골 귀족들로부터 경원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으로까지 추락했다.
23세손 김상좌는 왕건을 추대하고 고려 건국에 공헌하여 삼중대광 개국원훈에 올랐다. 이후 그 후손들이 문무명신을 배출한 삼한갑족으로 위세를 떨쳤다. 고려 시대에만 정승급 15명을 비롯하여 명신·공신 10여 명, 장군 8명, 제학 11명 등 숱한 인물을 배출했다.
3. 3.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들어와 조선 개국에 반대한 고려 충신들이 많았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18][19]를 비롯한 정치적 사건들에 휘말려 쇠락을 면치 못했다. 역대 정승은 숙종 때 김우항 한 명뿐이었다.4. 분파
김해 김씨는 시조 김수로왕으로부터 이어지는 오랜 역사를 가진 가문으로,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크게 경파(京派), 사군파(四君派), 삼현파(三賢派)를 비롯하여 천여(天與)계, 진의(進意)계, 상현(商賢)계, 상인(商寅)계, 서지(瑞地)계, 정국(定國)계 등으로 분파되었다.[7]
각 분파는 파조(派祖)를 중심으로 그 아래에 다시 여러 소파(小派)들로 분화되어 있다. 주요 분파로는 고려 시대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김목경을 파조로 하는 경파(京派), 감무를 지낸 김익경(金益卿)을 파조로 하는 사군파(四君派), 고려 시대 판도판서를 지낸 김관을 파조로 하는 삼현파(三賢派)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분파들이 있다.
- 천여(天與)계: 첨정공파(僉正公派), 충경공파(忠景公派)
- 진의(進意)계: 운은공파(雲隱公派), 율은공파(栗隱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문경공파(文敬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한림공파(翰林公派), 충정공파(忠貞公派), 도사공파(都事公派), 승정공파(承政公派), 휴은공파(休隱公派), 장사군파(長沙郡派), 도사공파(都事公派),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도총관공파(都總管公派), 동정공파(同正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 상현(商賢)계: 판전공파(判典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참봉공파(参奉公派), 숭정공파(崇政公派), 상서공파(尙書公派),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 단련사공파(團鍊使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충정공파(忠精公派)
- 상인(商寅)계: 유수공파(留守公派)
- 서지(瑞地)계: 록사공파(錄事公派)
- 정국(定國)계: 판서공파(判書公派),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우후공파(虞侯公派),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부정공파(副正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각 분파별 항렬자(行列字)는 다음과 같다.
-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 파조 첨검(添劍)
- 부정공파(副正公派): 파조 평(平)
- 참봉공파(參奉公派): 파조 인서(麟瑞)
- 사정공파(司正公派): 파조 이형(利亨)
- 승사랑공파(承仕郎公派): 파조 지서(之瑞)
4. 1. 경파(京派) [금녕군파(金寧君派)]
김목경을 파조(派祖)로 하는 경파(京派)는 금녕군파(金寧君派)라고도 한다. 김목경은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 경파에는 다음과 같은 분파들이 있다.[7]- 참판공파(參判公派) - 김영견(金永堅)
- 횡성공파(橫城公派) - 김영서(金永瑞)
- 안경공파(安敬公派) - 김영정
- 석성공파(石城公派) - 김영순(金永純)
- 호참공파(戶參公派) - 김진서(金震敍)
- 참찬공파(參贊公派) - 김달문(金達門)
- 봉상공파(奉常公派) - 김현문(金顯門)
-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 김창문(金昌門)
- 문간공파(文簡公派) - 김저(金著)
- 밀직공파(密直公派) - 김수(金秀)
-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 김란(金蘭)
4. 2. 사군파(四君派) [감무공파(監務公派)]
김익경(金益卿)은 감무(監務)를 지냈으며, 그의 후손에서 4개의 파가 나왔다.- 생원공파(生員公派) - 김련(金鍊)
- 도총관공파(都摠管公派) - 김추(金錘)
- 생원공파(生員公派) - 김구(金銶)
- 찬성공파(贊成公派) - 김석(金錫)
- 상서공파(尙書公派) - 김감(金鑑)
- 공간공파(恭簡公派) - 김조(金銚)
4. 3. 삼현파(三賢派)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
김관(金管)을 파조로 하는 삼현파(三賢派)는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라고도 한다. 김관은 고려 시대에 판도판서를 지냈다.삼현파에는 다음과 같은 분파들이 있다.
- 군수공파(郡守公派) - 김건(金建)
- 참판공파(參判公派) - 김맹(金孟)
- 한림공파(翰林公派) - 김용(金勇)
- 진사공파(進士公派) - 김순(金順)
- 녹사공파(錄士公派) - 김인(金靭)
- 진의공파(進義公派) - 김현(金鉉)
삼현파와 관련된 주요 유적은 다음과 같다.
유적명 | 관련 인물 | 소재지 |
---|---|---|
저산서원(楮山書院) | 김관(金管), 김문숙(金文淑), 김항(金伉), 김서(金湑)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유등로332번길 42-7 |
영모재(永慕齋) | 김맹(金孟), 김일손(金馹孫) | 경북 청도군 이서면 행정명곡길 10-19 |
긍구정(肯構亭) | 김용(金勇) | 경북 경산시 압량읍 내리길25길 10 |
죽곡재(竹谷齋) | 김순(金順) | 경남 김해시 진영읍 서부로137번길 13-2 |
삼락재(三樂齋) | 김인(金靭) | 경북 경산시 자인면 옥천길 65 |
5. 항렬자
行렬字|항렬자중국어는 김해 김씨의 각 파에서 사용하는 이름자이다.
- 경파(京派)
17세 67세 | 18세 68세 | 19세 69세 | 20세 70세 | 21세 71세 | 22세 72세 | 23세 73세 | 24세 74세 | 25세 75세 | 26세 76세 | 27세 77세 | 28세 78세 | 29세 79세 | 30세 80세 | 31세 81세 | 32세 82세 | 33세 83세 | 34세 84세 | 35세 85세 | 36세 86세 | 37세 87세 | 38세 88세 | 39세 89세 | 40세 90세 | 41세 91세 |
---|---|---|---|---|---|---|---|---|---|---|---|---|---|---|---|---|---|---|---|---|---|---|---|---|
口현(鉉) | 제(濟) | 口식(植) | 현(顯) | 口배(培) | 종(鍾) | 口태(泰)‧口수(洙) | 영(榮) | 口겸(謙)‧口섭(燮) | 재(載)‧재(在) | 口진(鎭) | 호(浩) | 口근(根) | 성(性)‧병(炳) | 口용(用)‧口곤(坤) | 석(錫)‧호(鎬) | 口순(淳) | 동(東) | 口열(烈)‧口환(煥) | 중(重) | 口선(善)‧口용(鎔) | 낙(洛) | 口상(相) | 형(炯)‧병(炳) | 口기(基)‧口규(奎) |
- 사군파(四君派)
17세 67세 | 18세 68세 | 19세 69세 | 20세 70세 | 21세 71세 | 22세 72세 | 23세 73세 | 24세 74세 | 25세 75세 | 26세 76세 | 27세 77세 | 28세 78세 | 29세 79세 | 30세 80세 | 31세 81세 | 32세 82세 | 33세 83세 | 34세 84세 | 35세 85세 | 36세 86세 | 37세 87세 | 38세 88세 |
---|---|---|---|---|---|---|---|---|---|---|---|---|---|---|---|---|---|---|---|---|---|
석(錫) | 口태(泰) | 상(相) | 口현(炫) | 재(在) | 口호(鎬) | 영(永) | 口식(植) | 형(炯) | 口규(奎) | 용(鎔) | 口순(淳) | 동(東) | 口훈(勳) | 중(重) | 口회(會) | 원(源) | 口주(柱) | 찬(燦) | 口기(基) | 종(鍾) | 口섭(涉) |
- 삼현파(三賢派)
16세 64세 | 17세 65세 | 18세 66세 | 19세 67세 | 20세 68세 | 21세 69세 | 22세 70세 | 23세 71세 | 24세 72세 | 25세 73세 | 26세 74세 | 27세 75세 | 28세 76세 | 29세 77세 | 30세 78세 | 31세 79세 | 32세 80세 | 33세 81세 | 34세 82세 | 35세 83세 | 36세 84세 |
---|---|---|---|---|---|---|---|---|---|---|---|---|---|---|---|---|---|---|---|---|
현(顯) | 재(再) | 국(國)‧口규(圭) | 창(昌) | 口두(斗) | 용(容) | 口곤(坤) | 종(鍾)‧진(鎭) | 口수(洙)‧口태(泰) | 상(相)‧동(東) | 口환(煥)‧口희(熙) | 정(廷)‧재(在) | 口호(鎬)‧口진(鎭) | 영(永)‧문(汶) | 口근(根)‧口표(杓) | 병(炳)‧경(炅) | 口채(埰)‧口기(基) | 석(錫)‧명(銘) | 口홍(洪)‧口순(淳) | 주(柱)‧계(桂) | 口하(夏)‧口열(烈) |
- 문경공파(文敬公派)
17세 71세 | 18세 72세 | 19세 73세 | 20세 74세 | 21세 75세 | 22세 76세 | 23세 77세 | 24세 78세 | 25세 79세 | 26세 80세 | 27세 81세 | 28세 82세 | 29세 83세 | 30세 84세 | 31세 85세 | 32세 86세 |
---|---|---|---|---|---|---|---|---|---|---|---|---|---|---|---|
항(抗) | 口후(厚) | 하(夏) | 口관(寬) | 영(永) | 口모(模) | 희(熙) | 口재(載) | 용(鏞) | 口태(泰) | 래(來) | 口섭(燮) | 규(奎) | 口련(鍊) | 홍(洪) | 口표(杓) |
- 율은공파(栗隱公派)
18세 69세 | 19세 70세 | 20세 71세 | 21세 72세 | 22세 73세 | 23세 74세 | 24세 75세 | 25세 76세 | 26세 77세 | 27세 78세 | 28세 79세 | 29세 80세 | 30세 81세 |
---|---|---|---|---|---|---|---|---|---|---|---|---|
口상(相)‧口병(柄) | 두(斗) | 口기(基)‧口시(時) | 선(善)‧종(鍾) | 口호(浩)‧口순(淳) | 영(榮)‧근(根) | 口환(煥)‧口섭(燮) | 규(圭)‧재(載) | 口현(鉉)‧口덕(德) | 락(洛)‧영(永) | 口동(東)‧口식(植) | 훈(勳)‧희(熙) | 口요(堯)‧口배(培) |
- 도총관공파 서강공파(都總管公派 西岡公派)
19세 68세 | 20세 69세 | 21세 70세 | 22세 71세 | 23세 72세 | 24세 73세 | 25세 74세 | 26세 75세 | 27세 76세 | 28세 77세 | 29세 78세 | 30세 79세 | 31세 80세 | 32세 81세 | 33세 82세 | 34세 83세 | 35세 84세 | 36세 85세 | 37세 86세 | 38세 87세 | 39세 88세 | 40세 89세 |
---|---|---|---|---|---|---|---|---|---|---|---|---|---|---|---|---|---|---|---|---|---|
규(圭) | 口수(壽) | 종(鍾) | 口영(永)‧口구(求) | 병(秉) | 口희(熙)‧口훈(勳) | 재(在) | 口진(鎭) | 태(泰) | 口주(柱) | 형(炯) | 口기(基) | 용(鎔) | 口순(淳) | 영(榮) | 口휘(輝) | 원(遠) | 口현(鉉) | 철(澈) | 口채(彩) | 환(煥) | 口규(圭) |
- 도총관공파 축은공파(都總管公派 築隱公派)
21세 70세 | 22세 71세 | 23세 72세 | 24세 73세 | 25세 74세 | 26세 75세 | 27세 76세 | 28세 77세 | 29세 78세 | 30세 79세 | 31세 80세 | 32세 81세 | 33세 82세 | 34세 83세 | 35세 84세 | 36세 85세 | 37세 86세 | 38세 87세 | 39세 88세 | 40세 89세 |
---|---|---|---|---|---|---|---|---|---|---|---|---|---|---|---|---|---|---|---|
이(履) | 口섭(燮) | 요(堯) | 口련(鍊) | 한(漢) | 口석(錫)‧口수(洙) | 해(海)‧동(東) | 口열(烈) | 원(垣) | 口회(會)‧口호(鎬) | 태(泰) | 口주(柱) | 영(榮) | 口휘(輝) | 원(遠) | 口현(鉉) | 철(澈) | 口채(彩) | 환(煥) | 口규(圭) |
-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20세 70세 | 21세 71세 | 22세 72세 | 23세 73세 | 24세 74세 | 25세 75세 | 26세 76세 | 27세 77세 | 28세 78세 | 29세 79세 | 30세 80세 | 31세 81세 |
---|---|---|---|---|---|---|---|---|---|---|---|
口배(培) | 종(鍾) | 口택(澤) | 근(根) | 口현(炫) | 재(在) | 口호(鎬) | 순(淳) | 口표(杓) | 형(炯) | 口균(均) | 口석(錫) |
-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 파조 첨검(添劍)
- 부정공파(副正公派): 파조 평(平)
○세손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
行렬字|항렬자중국어[7] | 연(淵)‧태(泰) | 영(榮)‧병(秉) | 섭(燮)‧욱(煜) | 규(圭)‧길(吉) | 종(鍾)‧용(鎔) | 태(泰)‧영(永) | 상(相) | 병(炳) | 균(均) |
- 참봉공파(參奉公派): 파조 인서(麟瑞)
- 사정공파(司正公派): 파조 이형(利亨)
- 승사랑공파(承仕郎公派): 파조 지서(之瑞)
6. 주요 인물
김해 김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128명, 무과 536명, 사마시 471명, 역과 59명, 의과 39명, 음양과 15명, 율과 33명, 주학 8명을 배출했다.
6. 1. 역사 속 인물
신라 |
---|
고려 |
---|
조선 |
---|
근현대 |
---|
6. 2. 현대 인물
- '''김원근''': 학교법인 청석학원 설립자. 그의 구휼 사업을 기려 시혜비가 세워졌다.
- '''김두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하고 조선독립동맹의 주석으로 중국을 누빈 연안파의 거두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초대 국가원수였다.
- '''김원봉''': 의열단을 조직하여 일제에 항거하였고, 광복군 부사령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 등을 지냈다.
- '''김상옥''': 1923년에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던지고 격전 끝에 자결했다.
- '''김준연''':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사직. ML당사건으로 투옥된 독립운동가, 광복 후 초대 법무부 장관ㆍ제헌의원ㆍ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김현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 광복 후 부흥부ㆍ농림부ㆍ재무부 장관을 지냈고, 내각수반을 역임하였다.
- '''김주열''': 3·15 의거에서 희생된 민주열사.
- '''김철호''': 기아그룹 창업주.
- '''김성곤''': 국회의원, 쌍용그룹 창업주.
- '''김환기''': 20세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
- '''김종오''': 한국전쟁 제9사단장으로 백마고지 전투 지휘, 제15대 육군참모총장, 제8대 합동참모의장으로 재임하였다.
- '''김오랑''': 특전사령관 정병주의 비서실장으로 12.12 군사 반란 중 순국하였다.
- '''김대중''': 제15대 대통령, 남북정상회담과 6.15 남북공동선언을 이끌어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3]
- '''김홍일''': 김대중 대통령의 장남으로, 제15·16·17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김홍업''': 김대중 대통령의 차남으로, 제17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김홍걸''': 김대중 대통령의 삼남으로,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김종필''': 제11·31대 국무총리, 자유민주연합 총재를 역임하였다.
- '''김혁규''': 제31대 경상남도 도지사, 제17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김부겸''': 제16·17·18·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의 행정안전부 장관,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 김대건 안드레아 (1821–1846): 한국 천주교 성인
- 김홍도 (1745–): 조선 화가
- 보겸 (본명 김보겸, 1988년생): 대한민국 유튜버
- 김부겸 (1958년생): 대한민국 정치인
- 공명 (본명 김동현, 1994년생): 대한민국 배우
- 도영 (가수) (본명 김동영, 1996년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NCT 멤버
- 비아이 (가수) (본명 김한빈, 1996년생): 대한민국 래퍼
- 김형욱 (1925–1979): 대한민국 준장
- 츄 (가수) (본명 김지우, 1999년생): 대한민국 가수[9]
- 첸 (가수) (본명 김종대, 1992년생): 대한민국 가수
- 김종현 (가수) (1990–2017): 대한민국 가수
- 김종필 (1926–2018): 대한민국 정치인
- 예성 (본명 김종운, 1984년생): 대한민국 가수
- 김강훈 (2009년생): 대한민국 배우
- 윈터 (가수) (본명 김민정, 2001년생): 대한민국 가수, 걸 그룹 에스파 멤버
- 시우민 (본명 김민석, 1990년생): 대한민국 가수
- 김무성 (1950년생): 대한민국 정치인
- 승민 (가수) (본명 김승민, 2000년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스트레이 키즈 멤버
- 선우 (가수) (본명 김선우, 2003년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엔하이픈 멤버
- 승민 (김승민, 2000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작곡가, 보이 그룹 스트레이 키즈 멤버
7. 인구
김해 김씨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이며, 김씨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41.7%)을 차지한다. 2000년에는 4,124,934명, 2015년에는 4,456,700명으로 조사되었다.
2000년 기준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인구 |
---|---|
서울 | 815,783명 |
부산 | 407,041명 |
대구 | 199,252명 |
인천 | 207,736명 |
광주 | 148,736명 |
대전 | 96,887명 |
울산 | 104,627명 |
경기 | 718,661명 |
강원 | 107,612명 |
충북 | 86,978명 |
충남 | 140,151명 |
전북 | 173,712명 |
전남 | 268,525명 |
경북 | 237,826명 |
경남 | 350,012명 |
제주 | 61,395명 |
부산과 경남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2015년 통계 기준으로, 총인구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시·군·구는 다음과 같다.[8]
- 전라남도: 진도군(16.97%), 해남군(17.34%), 신안군(20.35%), 영광군(14.12%), 완도군(20.28%), 나주시(12.72%), 무안군(13.79%), 영암군(14.95%), 화순군(10.95%)
- 전라북도: 장수군(9.58%), 남원시(10.67%), 고창군(10.54%), 부안군(10.09%), 김제시(9.37%)
- 광주광역시: 광산구(12.32%)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11.04%), 포항시 북구(10.83%), 김천시(12.18%), 청도군(13.23%), 상주시(9.42%), 경주시(9.52%), 구미시(9.79%)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11.48%), 창원시 의창구(12.2%), 창원시 마산회원구(11.82%), 창원시 마산합포구(12.84%), 창원시 진해구(12.86%), 진주시(10.76%), 창녕군(11.29%), 김해시(12.68%), 사천시(13.13%), 남해군(12.55%)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9.21%), 철원군(9.15%)
- 충청남도: 금산군(11.81%)
김해 김씨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7]
8. 집성촌
2015년 통계 기준 김해 김씨 집성촌의 인구수, 비율은 다음과 같다.[8]
지역 | 인구 | 총인구 대비 비율 |
---|---|---|
전라남도 진도군 | 4,684명 | 16.97% |
전라남도 해남군 | 11,087명 | 17.34% |
전라남도 신안군 | 6,939명 | 20.35% |
전라남도 영광군 | 6,688명 | 14.12% |
전라남도 완도군 | 9,079명 | 20.28% |
전라남도 나주시 | 10,926명 | 12.72% |
전라남도 무안군 | 10,281명 | 13.79% |
전라남도 영암군 | 7,802명 | 14.95% |
전라남도 화순군 | 6,247명 | 10.95% |
전라북도 장수군 | 1,899명 | 9.58% |
전라북도 남원시 | 7,844명 | 10.67% |
전라북도 고창군 | 5,344명 | 10.54% |
전라북도 부안군 | 4,911명 | 10.09% |
전라북도 김제시 | 7,234명 | 9.37% |
광주광역시 광산구 | 46,265명 | 12.32%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 25,100명 | 11.04%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 27,232명 | 10.83% |
경상북도 김천시 | 15,604명 | 12.18% |
경상북도 청도군 | 4,949명 | 13.23% |
경상북도 상주시 | 8,744명 | 9.42% |
경상북도 경주시 | 23,916명 | 9.52% |
경상북도 구미시 | 38,287명 | 9.79%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24,776명 | 11.48%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28,766명 | 12.2%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 22,921명 | 11.82%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21,320명 | 12.84%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21,428명 | 12.86% |
경상남도 진주시 | 35,277명 | 10.76% |
경상남도 창녕군 | 6,279명 | 11.29% |
경상남도 김해시 | 61,185명 | 12.68% |
경상남도 사천시 | 13,668명 | 13.13% |
경상남도 남해군 | 5,155명 | 12.55%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 2,657명 | 9.21%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2,294명 | 6.66%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 3,894명 | 9.15% |
충청남도 부여군 | 4,840명 | 7.63% |
충청남도 금산군 | 5,930명 | 11.81% |
충청남도 공주시 | 7,506명 | 7.14% |
충청남도 논산시 | 9,734명 | 8.64% |
충청남도 보령시 | 8,034명 | 8.61% |
충청남도 아산시 | 24,447명 | 8.61%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 9,758명 | 6.07%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 12,778명 | 6.19%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 15,266명 | 6.49%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 11,474명 | 6.88% |
충청북도 옥천군 | 3,591명 | 7.82% |
충청북도 괴산군 | 2,468명 | 7.14% |
평안남도 용강군 | ||
함경남도 북청군 | ||
함경남도 홍원군 | ||
함경북도 라진시 | ||
함경북도 경성군 | ||
함경북도 명천군 | [7] |
9. 유적
김해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지명이다. 낙동강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가락국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왔다.
- 532년(신라 법흥왕 19년)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이 되었다.
- 680년 (문무왕 20년)에 금관소경이 되었다가, 757년 (경덕왕 16년) 김해소경으로 바뀌어 양주의 관할이 되었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김해부로 개칭되었고 임해현으로 다시 강등되었다가 곧 임해군으로 승격되었다.
- 995년 (성종 14년)에 김해안동도호부로 개칭하여 영동도에 속하였다가 1012년 (현종 4년) 김해군방어사로 강등되었으나 1018년부터는 의안군(義安郡: 창원)·함안군(咸安郡)·칠원현(漆原縣: 칠원면)·웅신현(熊神縣: 진해) 등을 영현으로 삼았다.
- 1270년 (원종 11년) 방어사 김훤이 인접지역인 밀성(密城)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1293년 (충렬왕 19년) 현으로 강등되었다.
- 1308년 금주목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 (충선왕 2년) 김해부로 격하되었다.
- 1413년 (태종 13년)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세조 때 진을 두었다.
- 1895년 (고종 32년) 김해군이 되었고, 1981년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을 통합하였다.[1]
10. 사성 김해 김씨 (우록 김씨)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귀순한 일본 장수로 알려진 김충선의 후손들은 사성 김해 김씨(우록김씨)라 불린다.[10] 김충선은 실존 인물이지만, 자세한 내용은 불확실한 점이 많다.[10]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김해김씨 金海金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Vol. III
https://books.google[...]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outh Korea)
2014-11-27
[3]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Facts On File
2010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5]
뉴스
金首露王の夫人の「インド渡来説」科学的な証拠
https://japanese.joi[...]
2004-08-19
[6]
간행물
삼국사기 권41
[7]
웹사이트
김씨(金氏) 본관(本貫) 김해(金海)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8]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9]
Youtube
(ENG) X개월 된 양배추로 요리했습니다... 하는 츄도 먹는 제작진도 목숨 건 냉파 요리 🤮
https://www.youtube.[...]
2021-09-16
[10]
뉴스
降倭沙也可〈1〉正体不明 謎の武将
http://kyushu.yomiur[...]
2004-04-03
[11]
일반
김해김씨 문경공파 집성촌
[12]
일반
김해김씨 감무공파(사군파), 도사공 김연(金璉)파 집성촌
[13]
일반
김해김씨 삼현파 집성촌
[14]
일반
김해김씨 율은공파 집성촌
[15]
일반
김해김씨 좌정승공파 집성촌
[16]
일반
김해김씨 양의공파 집성촌
[17]
일반
삼국유사 2권 가락국기
[18]
일반
연산군 시대 김일손의 사초에 수록된 조의제문으로 인한 사화
[19]
일반
성현의 용재총화에 언급된 쇠퇴한 김해김씨
[20]
일반
김해 김씨 좌정승공파 파조이자 제주 입도조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